日 TV 절반 이상이 中…미국·유럽 점유율 확대
삼성·LG업 카지노 인도 시장 돌파구로 낙점
높은 성장률·커지는 시장·값싼 노동력 '매력'

"업 카지노는 특히 경제 안정성과 성장성 관점에서 독보적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가전 보급률이 아주 낮은 상황이지만 내년부터 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000달러대에 진입하는 등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이 크게 늘어 날 것이다. 더 많은 업 카지노 고객에게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로 도약하겠다."
-3월25일 LG업 카지노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중 조주완 LG업 카지노 사장 발언 발췌-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지난달 열린 LG업 카지노 주주총회에서 조주완 LG업 카지노 사장은 많은 시간을 할애해 인도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설명했다. 그리고 지난 7일 LG업 카지노는 인도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서류를 제출했다고 알리기도 했다.
삼성업 카지노 역시 수년 간 제품 현지화와 고객 접점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단적으로 지난해 초 중저가형 스마트폰을 주로 생산하던 인도 노이다 공장에서 처음으로 갤럭시 S23 시리즈의 초도 물량을 생산하기도 했다. 이 시기 뉴델리와 콜카타 등에 체험형 매장을 열고 700개가 넘는 현지 판매망 또한 구축했다.
고(故) 한종희 삼성업 카지노 부회장은 지난해 3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인도를 찾아 "인도는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라며 인도 시장 강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업 카지노色 지우고 시장 장악하는 업 카지노
글로벌 가전의 '쌍두마차'인 삼성업 카지노와 LG업 카지노가 인도 시장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중국색을 지우고 무섭게 시장을 잠식해 나가는 중국 기업의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한 글로컬리제이션 전략이 자리한다.
하이센스, TCL 등 업 카지노 기업은 과거 '외산 가전의 무덤'이라고 불렸던 일본에서 50%가 넘는 TV시장 점유율을 자랑한다.
시장조사 업체 BCN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내 TV 시장 점유율은 하이센스(자체 브랜드와 레그자 합산)가 41.1%로 1위다. 업 카지노의 TCL도 9.7%로 소니(9.6%)와 파나소닉(8.8%)을 제치고 3위에 자리했다. BCN리서치 수석 분석가 모리 에이지는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일본인들의 저축 의식이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업 카지노 브랜드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불안 탓도 있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업 카지노 기업의 약진에는 공격적인 M&A를 통한현지화 전략이 있다. 하이센스는 2017년 도시바의 TV 사업을, 메이디 그룹은 도시바의 생활가전 사업을 인수했다. 샤프는 대만의 폭스콘에 넘어갔다. 특히 하이센스는 도시바 인수 후 도시바가 평면 TV 제품에 사용했던 브랜드명 '레그자'를 그대로 유지하며 업 카지노색을 지웠다. 업 카지노 기업이 인수한 사실을 모르는 소비자가 일본 제품으로 생각해 구매를 이어가는 점을 노린 것이다.
업 카지노 기업의 약진 속에 1990년대까지 전 세계 가전 시장을 주름잡았던 일본 파나소닉이 70여년 만에 TV사업에서 철수를 검토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구스미 유키 파나소닉홀딩스 사장은 지난 2월4일 기자회견에서 TV와 산업용 기기 등을 지목하며 "수익이 적고 성장 가능성이 보이지 않아 철수하거나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 카지노 기업의 공격적 M&A는 일본에 그치는 건 아니다. 하이얼은 제너럴일텍트릭(GE) 가전사업부, 뉴질랜드 피셔&파이클, 이탈리아 캔디를 품었다. 하이센스는 도시바 TV사업부, 유럽 가전업체 고렌예와 자동차 에어컨업체 샌든홀딩스를 사들였다.
중국색을 지우고 현지화에 나서면서 이들 중국 가전 기업은 진입 장벽이 높은 유럽과 미국 등에서 점유율을 높이는 동시에 인수 기업의 기술을 발판 삼아 첨단 기술 개발로 삼성업 카지노와 LG업 카지노를 위협하는 위치까지 올랐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TV 출하량 기준 중국 기업의 점유율은 31.3%로 한국 기업(28.4%)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삼성업 카지노와 LG업 카지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앞세운 신제품을 전면에 내세우는 동시에 인도나 중동 등 새로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삼성·LG, 돌파구로 낙점한 업 카지노
중국 기업의 매서운 추격에 삼성업 카지노와 LG업 카지노가 돌파구로 점찍은 건 인도다. 삼성업 카지노는 지난해 2022년과 비교해 인도 시장에서 3배가량 늘어난 순이익을 거뒀고, LG업 카지노는 지난해 인도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8일 삼성업 카지노에 따르면 가전과 스마트폰 현지 판매를 맡고 있는 삼성업 카지노 인도 법인은 지난해 매출 17조490억원, 순이익 1조4084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매출은 12%, 영업이익은 22% 늘었다. 특히 2022년 순이익(5085억원)과 비교하면 3배 가까이 성장했다.
삼성업 카지노의 다른 해외 법인과 비교해도 성장세가 가파르다. 최근 2년간 누적 순익을 따져보면 인도 법인이 2조5000억원으로 2조원 초반인 북미와 중국 법인을 제치고 1위다.
LG업 카지노도 마찬가지다. LG업 카지노 인도법인의 지난해 매출은 3조791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8% 증가했다. 순이익은 3318억원으로 전년보다 43.4% 개선됐다. 회사 관계자는 "LG업 카지노가 인도에서 국민 브랜드로 자리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LG업 카지노는 인도에서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1997년 인도법인 설립 후 연구개발(R&D)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는 전 부문을 구축했다. 2023년 푸네에 추가로 냉장고 공장을 확충했고, 인도 남부 지역에 8300억원을 투자해 신규 생산시설도 건설할 예정이다.
동시에 LG업 카지노는 연내 인도 법인 상장(IPO)을 추진 중이다. LG업 카지노는 상장 등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향후 주력인 가전 사업 뿐 아니라 기업간거래(B2B)와 에듀테크, 구독 등 다양한 사업영역에서 인도 진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업 카지노와 LG업 카지노의 이런 행보는 인도 시장의 성장성을 고려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14억5000만여명으로 전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인 인도는 세탁기와 냉장고 등 가전제품 보급률이 20~30%에 그친다. 에어컨 보급률은 10%에 못 미친다.

업계 관계자는 "업 카지노는 소비 시장으로서 성장성도 크지만 풍부한 노동력으로 중국을 대신할 생산기지로서 매력도 충분한 국가"라면서 "높은 성장률과 커지는 시장, 저렴한 인건비 등이 업 카지노를 점점 더 매력적인 시장으로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